728x90
반응형
SMALL
구분 | 대상지 | 작업방법 |
단목 벌채 |
- 재선충병 발생 모든 지역 - 타벌채 방법에 대해 산주동의 받지못한 지역 - 경관관리 위해 단목방제가 불가피한 지역 |
- 방제대상목 표식된 나무 - 담당공무원이 제거요청한 나무벌채 - 20m 내외 잔존 소나무류 예방나무주사 실시 가능 |
소구역 모두 베기 |
- 신규발생지역, 재발생지, 선단지 - 기존발생지부터 5km이상 떨어져 발생한 지역 - 단목 또는 소군상 형태로 피해가 경미한 지역 |
- 단목 피해 발생 : 반경 20m 안의 모든 소나무류 벌채 - 고사목 및 비병징감염목만 골라벌채 가능 - 감염목간 20m 이내인 감염목 연결선으로부터 외각 20m 모든 소나무류 제거 - 벌채지로부터 외곽 30m 내외 안에 있는 소나무류에 나무주사 실시할 수 있음 |
소군락 모두 베기 |
- 당초 본수 대비 50% 이상 발생 지역 - 농경지, 생활권, 반복적인 단목 방제 어려운 지역 - 피해 완료된 지역으로 잔여 고사목 제거 필요 지역 |
- 소규모로 군락을 이루고 있는 모든 소나무류를 벌채함 - 군락의 크기는 0.3ha 이내로 함 |
모두 베기 |
- 당초본수 대비 30% 이상 발생 지역 - 예외 시행 지역 · 급격 확산 우려 · 잣나무 임지 - 반복적 피해 발생지 - 벌채 후 수익이 기대되는 임지 - 형질 불량하여 수종갱신 필요 지역 |
- 계획된 벌채구역 안의 모든 소나무류를 제거 - 산주의 동의를 얻어 위탁 또는 대행하도록 함 - 외곽 20m 내외(잣나무 30m) 안에 나무주사를 실시 가능 |
반응형
LIST
'산림기술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「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」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확을 위한 벌채금지 구역 (0) | 2024.02.07 |
---|---|
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, 도태간벌의 적용대상지와 미래목 선정·관리를 기술 (0) | 2024.02.07 |
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, 도태간벌의 적용대상지와 미래목 선정·관리를 기술 (0) | 2023.09.01 |
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 지침에 따른 정량간벌 작업의 적용 대상지와 작업 방법 (0) | 2023.09.01 |
「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」에서 정한 친환경 벌채 기준 (0) | 2023.09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