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산림기술사133

「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」상 ‘자연환경보전림’의 관리목표와 유형구분, 관리대상 Ⅰ. 관리목표 - 보호 가치 있는 산림자원이 건강하게 보전될 수 있는 산림 Ⅱ. 관리대상 - 채종림, 채종원, 시험림, 산림보호구역(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) - 백두대간보호지역, 보전녹지지역, 자연공원, 문화재보호구역 - 자연생태계․경관보전지역, 생태․자연도 1등급, 야생생물보호구역 - 습지보호지역, 특정도서 안의 산림, 사찰 소유의 산림 - 수목원, 학술림, 고등학교 이하 학교 숲, 그 밖에 인정된 산림 Ⅲ. 유형구분 ① 보전형 : 생태계, 유전자원 보호 등을 위해 보전해야 할 산림 ② 문화형 : 역사․문화적 가치 보호 등을 위해 보전해야 할 산림 ③ 학술․교육형 : 학술․교육의 목적으로 보전해야 할 산림 ④ 생산형 : 쾌적 거주환경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 목재 생산 산림 ⑤ 미세먼지 저감형 : 미세먼지/.. 2024. 2. 7.
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에서 정의하는 열식간벌 1. 대상지 ① 생육상태 : 입목 생장 균일, 입목간 우열 심하지 않는 임지 ② 식재밀도 : 열식 인공조림지, 입목밀도 식재 본수의 70% 이상 임지 ③ 발달단계 : 유령임분(솎아베기 미수행 ) ※ 단, 잣나무, 낙엽송 인공조림지로 도태/정량간벌 적용 어려운 임지 등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열식간벌을 적용하지 않음 2. 작업방법 ① 작업방법 : 2열 이상 존치, 1열 간벌 ② 간벌열 첫번째 입목 : 존치(단, 기계화 작업 장애 입목은 제거 가능) ③ 간벌열 : 우량 입목은 존치 할 수 있음 ④ 잔존열 : 불량 입목은 제거할 수 있음 2024. 2. 7.
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 」 에서 산림의 기능 중 산지재해방지림의 조성 관리 1. 관리목표 : 각종 산림재해에 강한 산림 2. 관리대상 사방지, 산사태복구지, 재해방지보호구역, 산사태, 대형산불 우려되는 지역의 침엽수 단순림,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역, 산림병해충피해 우려 단순림, 그 밖에 관리 필요 인정된 산림 3 목표 산림 ① 산사태, 토사유출에 강한 다층 혼효림 ② 대형산불을 방지하기 위해 내화수림대(耐火樹林帶)가 포함된 혼효림 ③ 산림병해충에 강하고 생태적으로 건강한 다층 혼효림 구분 조성 관리 방법 사방지 토사 유출 조림 - 질소고정 : 콩과식물 + 속성수 혼합 조림 - 심근성 : 중심 + 천근성 수종 혼합 조림 - 토심 : 깊은 곳(활엽수), 얕은 곳(침엽수) - 식재밀도 : 5,000본/ha (입지 조건 따라 조정) 숲가 꾸기 - 숲가꾸기 : 미실시 (단, 사방기능 제.. 2024. 2. 7.
「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지침」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확을 위한 벌채금지 구역 Ⅰ. 지형 ① 정상부 : 주능선 8부 이상 (단, 표고 100m 미만 제외) Ⅱ. 재해 ① 계곡부 : 양안 홍수위 폭 ② 수변 : 만수위 30m 내외 ③ 내화수림대 ④ 잔존수림대 (단, 어린나무가꾸기 도달시점 잔존수림대는 벌채 가능) Ⅲ. 조림 ① 갱신불가지 : 암석지, 석력지, 황폐우려지 Ⅳ. 지리 ① 도로변 : 폭 20m 이내 지역 (단, 도로 안전 관리 위한 경우 제외) ② 임연부 ③ 운반로 등 : 운반로, 재해복구, 공익 위한 경우 필요 부분 최소 벌채 ※ 단, 수확을 위한 벌채금지구역에서도 골라베기/솎아베기 가능 2024. 2. 7.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