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산림기술사

산림휴양림의 유형별 관리방안

by Forestry 2024. 2. 7.
728x90
반응형
SMALL

1. 관리목표

- 휴양기능 + 종다양성 + 경관다양 특색산림

 

2. 목표산림

- 지역적 특성 적합 다층림, 다층혼효림

 

3. 관리대상

- 쾌적한 환경 + 휴식처 제공 + 정신육체적 건강 유지증진 기여

- 자연휴양림, 치유의 숲, 그 밖에 휴양기능 증진 위해 관리자 인정하는 산림

 

4. 산림휴양림 구분

공간 이용 지역 : 시설부지, 등산로, 산책로 주변, 가시권 고려하여 30m 이내

자연 유지 지역 : 공간이용지역 제외 지역 (가시권 30m 이외의 지역)

 

5. 공간이용지역 관리

구분 관리방법
조림 -경관수종, 화목, 관목, 식이수종, 지역특색수종 선정
-이단림, 다층혼효림으로 조성
-지역적국소적 특성 수종이 있을 경우 후계림 다층림 조성



-생태적 활력도 제고를 위해 솎아베기 등 숲가꾸기 실시
-희귀식물, 노령, 괴목, 노령고사목 등은 보존
산림병해충의 전염확산의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제거할 수 있음
-사방지, 송진 채취림 등 과거의 특별산림사업지 보존
-덩굴제거 인력, 제초제(금지), 살충제, 화학비료의 대량 사용금지
-작업 시기 : 방문객 적은 시기
-열식간벌 기계적 솎아베기 금지하고 가급적 약도 솎아베기 실시
수확 -피해 복구 등 공익적 목적 경우 제외하고 벌채하지 않음

 

6. 자연유지지역 관리

- 가급적 목재생산림우량대경재에 준하여 관리

- 산림재해방지 등 별도 기능이 요구될 경우 해당 산림의 기능에 준하여 관리
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