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1. 관리목표
- 휴양기능 + 종다양성 + 경관다양 → 특색산림
2. 목표산림
- 지역적 특성 적합 → 다층림, 다층혼효림
3. 관리대상
- 쾌적한 환경 + 휴식처 제공 + 정신․육체적 건강 유지․증진 기여
- 자연휴양림, 치유의 숲, 그 밖에 휴양기능 증진 위해 관리자 인정하는 산림
4. 산림휴양림 구분
① 공간 이용 지역 : 시설부지, 등산로, 산책로 주변, 가시권 고려하여 30m 이내
② 자연 유지 지역 : 공간이용지역 제외 지역 (가시권 30m 이외의 지역)
5. 공간이용지역 관리
구분 | 관리방법 |
조림 | -경관수종, 화목류, 관목류, 식이수종, 지역특색수종 선정 -이단림, 다층혼효림으로 조성 -지역적․국소적 특성 수종이 있을 경우 후계림 → 다층림 조성 |
숲 가 꾸 기 |
-생태적 활력도 제고를 위해 솎아베기 등 숲가꾸기 실시 -희귀식물, 노령목, 괴목, 노령고사목 등은 보존함 ※ 산림병해충의 전염․확산의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제거할 수 있음 -사방지, 송진 채취림 등 과거의 특별산림사업지 보존 -덩굴제거 인력, 제초제(금지), 살충제, 화학비료의 대량 사용금지 -작업 시기 : 방문객 적은 시기 -열식간벌 기계적 솎아베기 금지하고 가급적 약도 솎아베기 실시 |
수확 | -피해 복구 등 공익적 목적 경우 제외하고 벌채하지 않음 |
6. 자연유지지역 관리
- 가급적 목재생산림의 우량대경재에 준하여 관리
- 산림재해방지 등 별도 기능이 요구될 경우 해당 산림의 기능에 준하여 관리
반응형
LIST
'산림기술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“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”에서 임도설계시 검토하여야 할 배수구의 설치기준 (0) | 2024.02.07 |
---|---|
“산사태방지를 위한 산지재해방지림”과 “경관 목적의 산림휴양림”에서 실시하는 조림과 숲가꾸기 작업을 비교 (0) | 2024.02.07 |
산지재해방지림 조성 및 관리에서 대형산불 우려지역의 침엽수 단순림의 조림과 숲가꾸기에서 관리 방안 (0) | 2024.02.07 |
작업임도의 시설기준 (0) | 2024.02.07 |
산지재해방지림의 사방지 등 토사 유출이 우려되는 산림에 대한 입지조건 따른 조림수종 선정기준 (0) | 2024.02.07 |